중학생 수학 교과 교육 과정 및 기초학습의 중요성
중학생 수학 교과 교육 과정 및 기초학습의 중요성
다들 수학은 기초를 탄탄하게 해야 한다고 말을 합니다. 왜 유독 수학에 그런 말을 하는걸까요? 수학은 연계과목이다.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어보셨을거예요. 수학 교과 과정을 보면 그 이유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중학 수학 교과 과정을 보고 왜 기초가 중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수와 연산 영역은 수의 체계와 수의 연산으로 내용이 나누어집니다. 수의 체계는 수의 방정식의 해의 존재를 보장하기 위해 정수, 유리수, 실수 등으로 확장됩니다. 수의 연산은 각각의 수체계에서 사직계산이 정의되고 연산의 성질이 일관되게 성립합니다. 1학년 때는 소인수분해와 정수와 유리수를 배웁니다. 2학년 때는 유리수와 순환소수, 3학년에는 제곱근과 실수를 배우게 됩니다.
문자와 식 영역에서는 다항식과 부정식과 부등식으로 나누어집니다. 다항식은 수량 관계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하는 수학적 언어로 문자를 통해 수량 관계를 일반화함으로써 산술에서 대수로 이행하며, 수에 대한 사칙연산과 소인수분해가 다항식에 확장되어 적용됩니다. 1학년 때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을 배우고 2학년 때 식의 계산을 배웁니다. 이걸 볼 때 1학년 때 식의 계산을 제대로 안 하고 넘어가면 2학년 때 같은 내용을 배울 때 어려워집니다. 3학년 때는 다항식의 곱셉과 인수분해를 배우는데 이는 1학년 소인수분해와 사칙연산이 적용되기 때문에 소인수분해와 사칙연산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방정식과 부등식은 양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과 부등식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이를 만족하는 해를 구하는 것입니다. 1학년때는 일차방정식, 2학년 때 일차부등식과 연립 일차방정식을 배우게 되는데 1학년 때 일차방정식을 제대로 안 잡고 가면 2학년 연립 일차방정식 역시 어렵습니다. 3학년 때 역시 이차방정식을 배우기 때문에 일차방정식를 이해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함수 영역은 함수와 그래프 내용으로 1학년 때는 좌표명면과 그래프 2학년 일차함수와 그래프,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의 관계를 배우고 3학년 때 이차함수와 그래프를 배웁니다. 이 역시 일차 방정식 및 이차방정식을 모르면 풀 수 없겠죠.
기하 영역은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으로 나누어지는데 평면도형은 1학년 때 기본도형, 작도와 합동, 평면도형의 성질을 배우고 2학년 때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징, 도형의 닮음, 피타고라스 정리를 배웁니다. 3학년 때는 삼각비, 원의 성질을 배우게 됩니다. 입체 도형은 1학년 때 입체도형의 성질을 배웁니다.
마지막으로 확률과 통계에서는 확률과 통계로 나누어집니다. 확률은 2학년 때 확률과 그 기본 성질을 배우게 되고 통계는 1학년 때 잘의 정리와 해석, 3학년 때 대표값과 산포도, 상관관계를 배웁니다.
이처럼 연계되는 부분도 많고 중학교 과정 내에서 연계가 되지 않는다하더라도 고등학생 때 심화내용을 배우게 되기 때문에 기초를 탄탄하게 잡고 이해하고 넘어가야 합니다.